역사를 공부하는 건
참 흥미롭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지식을 쌓고,
세상을 바라봤는지 알게 되면,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죠.
유발 하라리는 시대별로
지식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간단한 공식으로 설명합니다.
지식의 공식,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했을까?
* 중세 유럽 :
지식 = 성경 ✖ 논리
* 과학 혁명 시대 :
지식 = 데이터 ✖ 수학
* 현재:
지식 = 경험 ✖ 감수성
경험이란?
감각, 감정, 생각의 총합.
감수성이란?
이를 깊이 집중하고,
나에게 미치는 영향을 받아들이는 태도.
우리는 더 많은 데이터를 쌓는 것보다,
더 깊이 경험하고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해졌다.
지금의 시대에서
우리는 어떤 지식을 쌓고,
어떻게 성장해야 할까?
- 읽쓰걷뛰 스레드
- 참고 : 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 유발 하라리 저/김명주 역
과거에는 책과 데이터를 통해
‘지식’을 쌓았다면,
지금은 직접 경험하고
느끼는 것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단순히 정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내가 경험한 것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성장할 수 있을지가 핵심이죠.
지금 시대의 지식은
‘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나의 감각
- 나의 감정
- 나의 생각
이 세 가지를 얼마나
깊이 이해하느냐에 따라
나의 성장 속도와 방향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단단하게 만드는 힘이
바로 마음 근력입니다.
마음 근력이란?
감정을 잘 다스리고,
생각을 정리하며,
나의 경험을 성장의 발판으로 삼는 힘 입니다.
이런 힘을 기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기 좋은 책이 있습니다.
- 내면소통 :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 김주환 저
이 책에서는 마음 근력을 키우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관심이 있다면
꼭 읽어보길 추천합니다.
오늘 하루도 작은 경험을
소중히 여기고,
그 경험이 나에게 주는 의미를
깊이 생각해 보세요.
" 함께 보기 "
성장하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4가지 공부
성장하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4가지 공부
여러분, 학교 다닐 때 어떤 기억이 가장 많이 나시나요?저는 학교 시절을 열심히 보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막상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rwwrhappy.tistory.com
여러분과 함께 읽고, 쓰고, 걷고, 뛰며
작지만 진솔한 성장의 여정을 함께하고 싶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자기 계발.
읽쓰걷뛰.
'읽기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를 공부하는 진짜 이유는, 점수를 위해서가 아니었다. (14) | 2025.06.22 |
---|---|
"책 읽는 게 재미없다고?" 나도 그랬어. (10) | 2025.06.20 |
"호모 데우스"를 읽으며, 한 가지 깨달았어요. (21) | 2025.06.14 |
우리 몸속엔 37조 개의 세포가 있다. 그런데. (52) | 2025.06.12 |
도서관 100% 활용 하기 (5) | 2025.05.02 |